• 주문제작현황
    • 나만의 상패

    • 고객센터
    • 배송안내    예문보기
    • 장바구니    주문/배송조회
    • LOGIN    회원가입
    • 홈
    •   중소기업청유망기업선정업체(2002-21호)
    •  
    • 감사·공로상패
      • 크리스탈
      • 크리스탈문진
      • 주석/금속/금은장/나무
      • 옥돌/자개/향나무
      • 칼라포토상패
      • 교회상패
    • 순금은상패
      • 순금상패
      • 순은상패
      • 순금골프공
    • 골프트로피
      • 크리스탈
      • 주석골프트로피
      • 황동청동골프트로피
      • 수입트로피
      • 기타
    • 트로피
      • 우승/준우승
    • 명패
      • 크리스탈
      • 자개
      • 서각명패
    • 주물현판
      • 주물현판
      • 스텐현판
      • 기타
    • 나무현판
      • 나무현판
      • 기타
    • 회기/근조기
      • 우승기
      • 각종단체기
      • 근조기
      • 깃발
    • 휘장
      • 현판
      • 상장/케이스
      • 의상봉
      • 꽃리본
      • 금관/왕관
      • 크리스탈메달
      • 명찰
      • 와이즈멘

    역사

    고대 그리스 기록에 의하면 페키니아 상인들이 항해 도중 모래밭에서 취사를 하다가 우연히 소다가 모래와 섞여 전혀 새로운 물질인 유리가 된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고 전해지고 있으나 기원전 3500년경의 이집트의 유물에서 발견된 유리가 가장 오래된 유리로 알려져 있다.
    이후, 이집트 및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유리제조가 행하여 졌으며 로마제국 시대에 유럽에 전파되어 13세기 이태리 베니스의 무라노 섬에서는 유리의 공업적 기술을 개발하여 유럽전역에 독점 공급하게 되었다.
    무라노 섬에는 이 기술의 비밀유지를 위해 섬밖으로 도망치는 자는 극형에 처하는 법을 제정하기도 했으나, Vermelini라는 기능공이 죽음을 무릅쓰고 영국으로의 탈출에 성공, 영국 왕실로부터 유리 제조 기술의 전수를 조건으로 영국에서의 베니스 유리 독점제조 권리를 부여받았다.
    그러던 중 1676년 영국의 유리제조공 George Ravensraft가 다량의 산화연과 탄산칼륨을 교모하게 배합 종전의 유리에 비해 뛰어난 투명도, 높은 굴절율, 중후한 무게감, 아름답고 경쾌한 충격음, 뛰어난 연삭성 등의 특징을 갖는 신제품 개발에 성공하게 되었는데 종전의 유리제품에 비해 수정(Crystal)과 비견되는 아름다움을 갖게 되어 자연스럽게 크리스탈이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크리스탈의 제조기법은 곧 유럽전역에 전파되어 수백년간 유럽왕실과 귀족들의 애호품으로 사랑받아 왔다.


    재조과정

    용해
    1,450c의 고열의 도가니에 규석, 칼리, 산화연, 등의 원료를 끓여 녹입니다. 용해작업은 저녁부터 다음날 아침까지 계속되어 원료가 완전히 용해 되도록 합니다.
    성형
    밤새 용해된 크리스탈의 원료는 1,100 - 1,200c의 온도로 조절하여 고도로 숙달된 기능과 경험을 가진 숙련공이 기다란 쇠파이프에 용해물을 말아 올려 갖가지 모양을 입으로 불어 만듭니다.
    서냉
    성형된 모형은 서냉로에서 약 2시간 동안 서서히 냉각시켜 크리스탈의 강도를 높입니다. 그후 30 - 40c의 온도가된 모형을 대상으로 기포의 유무나 외형의 양호를 판별하는 1차검사가 실시됩니다.
    연마
    서냉과정을 통해 냉각된 크리스탈은 각종 가공의 준비단계인 절단 및 연마과정에서 불필요한 부분이 절단되고 절단된 표면의 안팎은 곱게 다듬어 집니다.
    조각
    오랜 경험을 지닌 장인의 손으로 직접 정교하고 섬세하게 조각되는 크리스탈은 빛으로 반사와 굴절의 조화를 통해 마침내 완벽한 조각 예술품으로서의 찬란한 빛을 발하게 됩니다.
    검사
    완성된 크리스탈 제품은 투명도, 귤절률, 표면의 광택, 조각의 세련미, 전체적인 조화등의 최종 정밀검사를 거쳐 완벽한 제품만이 선별되어 포장됩니다.
    납품
     
    닫기

    향나무 이야기

    목재를 향으로 써왔기 때문에 향나무라고 한다. 심산지역, 높은 산에서 자라며 특히 울릉도에 많이 자랐으나 대부분 없어지고 관상용으로 흔히 심는다. 목재는 연필재 ·조각재 ·가구재 ·장식재 등에 사용한다. 한국 ·일본 ·중국 및 몽골에 분포한다.
    향나무는 우리 주변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나무이며, 특히 수맥파 차단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향나무의 기는 10m이상으로 수맥파를 향나무에서 10m이상 차단한다. 도로나 관공서 등에 잘 정돈된 향나무. 진백, 옥향 등 종류가 여러 가지가 있으나 방사되는 기의 세기는 비슷하기 때문에 그냥 향나무라고 칭하며, 종류에 관계없이 수맥파를 10m 이상 차단한다.
    흔히 제사 때 향을 피우는데, 이는 향나무의 강한 기를 이용해 잡귀의 접근을 막고 조상신만 모시자는 것이다. 향나무의 가지를 잘라서 방바닥에 내려놓으면 수맥파나 전자파가 차단된다. 또한 잎이나 향나무 톱밥을 배게 속에 넣으면 잠이 잘 오며 기억력도 좋아진다.
    처음엔 향나무의 강한 기 때문에 적응하기 힘들지만 며칠만 지나면 좋아진다. 향나무 목걸이나 염주, 팔지, 묵주 등 향나무를 사용한 제품들이 많이 있으나, 만든 시점이나 만든 사람에 따라서 기의 세기가 달라진다. 하지만 향나무의 기는 짧게는 1년, 길게는 3년을 간다.
    모든 향나무는 퇴마(退魔)의 효과도 있고, 동의보감에는 향나무가 방향, 방습, 해충퇴치, 심신안정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고 전해진다.

    닫기

    임목(林木)을 벌채 · 조재(造材)하여 얻은 통나무

    제재(製材)하지 않은 나무를 말하며, 소재(素材)라고도 한다.
    또 펄프·종이 공장에서 단순히 종이·펄프의 원료가 되는 목재를 형태에 구애됨이 없이 원목이라 부르기도 한다.

    나무는 기후가 습할 때 습기를 빨아들이고 건조할 때 내뿜어 습도와 온도를 조절할 뿐 아니라 "특히" 나무에서 나오는 [테르펜]이란 물질은 삼림욕 효과를 주며 고혈압, 동맥경화, 디프테리아, 가려움증, 정신질환등에 치료 효과가 있다고 밝혀졌다.

    닫기

    * 원소기호 : Au

    * 원자번호 :79

    * 원자량 : 196.9665

    * 녹는점 : 1064℃

    * 끓는점 : 2966℃

    * 비중 : 19.3(20℃)

    황금빛 광택이 나는 대표적인 귀금속이며, 황금(黃金)이라고도 한다. 금은 구리 다음으로 인간이 가장 먼저 사용한 금속이라 생각되고 있다. 금에 관해서는 이미 구약성서의 《창세기》에도 기재되어 있으며, BC 3000년경 메소포타미아인은 금으로 만든 투구를 사용하였고 이집트의 왕릉에서는 호화로운 금제품이 출토되어 유명하다.

    이 밖에 에게 및 잉카문명 등에서도 금을 중요시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리스인이 처음으로 금을 화폐로 사용했는데, 이 제도를 로마인도 이어받았다. 한편, 고대 인도의 경전(經典) 등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금은 마력(魔力)을 지니고 있다고 하여 옛날부터 숭배되었으며 금에 대한 인간의 욕망은 중세에 와서 연금술(鍊金術)을 발달시켰고, 또 당시의 사상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마르코 폴로의 모험이나 콜럼버스의 항해도 동양의 금을 구하려는 것이 첫째 목적이었으며, 근세 유럽의 발전도 금 ·은의 무역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즉, 16세기의 중남미침략을 시초로 19세기 북아메리카의 골드러시에서 그 절정을 이루었으며, 남아프리카 및 오스트레일리아의 개발도 그 여파의 결과라 할 수 있다.
    원소기호 Au는 라틴어에서 금을 뜻하는 aurum으로부터 유래한 것이며, 이것은 헤브라이어의 빛을 뜻하는 or 및 적색을 뜻하는 aus로부터 연유되었다고 하며, 프랑스어에서도 or라고 쓴다.
    영어의 gold 및 독일어의 Gold는 산스크리트의 빛을 뜻하는 jvolita에서 연유했다고 한다.

    닫기
    * 개요 - 주기율표 제1B족에 속하며 구리족 원소의 하나.

    * 원소기호 : Ag

    * 원자번호 : 47

    * 원자량 : 107.868

    * 녹는점 : 961.9℃

    * 끓는점 : 2212℃

    * 비중 : 10.49(20℃)

    청백색의 아름다운 광택을 가지며 귀금속으로서 금과 함께 사용되어 왔다. 지각 중에 함유된 양은 적고, 천연으로는 자연은(自然銀)으로서 산출되는 것 외에 휘은석(輝銀石)으로 산출되기도 한다.

    은 예부터 알려진 금속이지만 자연은으로 산출되는 경우가 자연금에 비해서 적고 까다로운 정제법을 거쳐야 얻을 수 있었기 때문에 이용 면에서 금보다 뒤떨어졌다. 이 때문에 고대에서는 금보다도 귀중하게 취급되었다고 하며 구약성서에도 은화(銀貨)로 거래된 일이 여러 군데에 씌어 있다.

    고대의 은의 주요 공급원은 방연석(方鉛石)이었으므로 고고학적 발굴에서는 납과 같이 산출되는 경우가 많고 유품은 이미 BC 3000년경의 이집트 ·메소포타미아의 고대 유적에서부터 발견되며, 바빌로니아 제국시대에서는 은제의 항아리 등이 출토되었다. 은화는 BC 6세기의 리디아 왕국에서 처음으로 제조되었고 이것이 그리스 ·로마로 이어졌다. 금이 태양을 상징하는 데 대해서 은은 그 빛깔로부터 초승달과 결부되어 달의 여신으로 숭배되었고, 중세의 연금술(鍊金術)에서도 취급되었다.
    16세기에 들어와 신대륙으로부터 방대한 양의 은이 유럽으로 유입하여 은의 가격이 하락하여 가격혁명을 일으켰지만, 영국 등에서 은본위제(銀本位制)를 실시하였기 때문에 가격이 안정되었다. 은은 공예적(工藝的)으로도 널리 사용되었으나 식기(食器)로서 유럽인들은 특히 은그릇을 귀히 여겼고 그 중에서도 영국의 은그릇은 미술적으로 명성이 높다. 한국에서 은을 화폐로 처음 사용한 것은 1101년(고려 숙종 6) 주전도감(鑄錢都監)에서 은병(銀甁)을 주조하여 법화로 삼고 동전과 함께 유통시킨 것이 효시이며,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명나라에 금 ·은을 진헌하여 여러 곳에서 채굴하였으며, 특히 함남 단천(端川)에서 성했던 것 같다.
    원자기호 Ag는 라틴어외 은을 뜻하는 argentum에서 따온 것이고 프랑스어의 argent는 이 라틴어에서 유래한다. 또한 영어의 silver와 독일어의 Silber는 아시리아어의 은을 뜻하는 sarpu에서 온 말이라고 한다.


    닫기

    용해된 금속을 주형(鑄型) 속에 넣고 응고시켜서 원하는 모양의 금속제품으로 만드는 일, 또는 그 제품.

    종류



    사용하는 금속에 따라서 주철주물 ·알루미늄합금주물 ·구리합금주물 등으로 분류하거나 주형의 종류와 용해된 금속의 유입법에 따라 분류한다.

    주형의 재료는 주물사(鑄物砂)를 단단히 다져서 만드는 사형(砂型), 강(鋼) 등의 금속에 조각해서 만드는 금형(金型), 가열하면 단단해지는 합성수지의 입자에 모래를 혼합한 것을 미리 가열한 금속제의 모형(母型) 위에 떨어뜨려서 고화시켜 얇은 껍질 모양의 주형을 만드는 셸형(shell mold) 등 여러 가지가 있으며, 각각 사형주물 ·금형주물 ·셸몰드 등으로 나누어진다.

    녹은 금속의 유입방법으로는 중력을 이용하는 중력주조, 녹은 금속을 가압하여 주형에 밀어 넣는 다이캐스팅(die casting), 원심력을 이용하여 주형의 구석구석까지 쇳물을 보내는 원심주조, 소량의 화약을 놓고 그 폭발의 압력으로 쇳물을 밀어 넣는 폭발주조, 주형을 아래로 향하게 하여 그 일부를 쇳물의 표면에 조금 넣어 두고 쇳물의 면을 가스로 가압하여 주형 속에 쇳물을 넣는 동시에 주형의 밑에서는 배기하여 쇳물을 빨아올리는 사출주조법(射出鑄造法) 등이 있다.


    공정



    주물작업을 하려면 우선 주형을 만들어야 한다. 금형의 경우는 금속의 쇳물을 흘려보내도 지장이 없고 내열성(耐熱性)이 있는 금속덩어리를 파서 오목한 부분을 만든다.

    금형은 하나의 주형을 수백 번이고 사용하기 때문에, 만들어진 주물을 응고 후에 손쉽게 빼낼 수 있도록 몇 개로 분할하게 되어 있다.

    사형에서는 매번 주형을 부수어 주물을 꺼내야 하므로 주형을 제품의 개수만큼 만들지 않으면 안 된다. 보통 나무로 만든 제품의 모형을 몇 개로 나누어 만든 모형(母型)을 틀 속에 넣어 주위에 모래로 다져서 단단하게 한 후 모형을 빼내는 방법으로 주형을 만든다.

    그러나 원통이나 원판을 조합한 것은 회전주형(sweeping mold)이라 하여 판으로 만든 외형의 모양을 회전시키면서 모래산을 만들어 주형을 만든다. 다음에는 여러 형식의 융해로에서 금속을 용해하는데, 합금의 경우에는 사전에 배합하여 정해진 성분으로 만든 쇳물을 일단 쇳물바가지(ladle) 속에 넣고, 여기서 주형에 주입한다. 굳어지는 것을 기다려 물건을 꺼내고, 사형이면 모래를 털어 낸 다음 그대로 또는 주물표면을 잔손질하여 제품으로 마무리한다.

    석탄난로는 주물표면 그대로의 예이고, 무쇠 솥은 깎아서 마무리한 예이다.


    닫기

    용해된 금속을 주형(鑄型) 속에 넣고 응고시켜서 원하는 모양의 금속제품으로 만드는 일, 또는 그 제품.

    종류



    사용하는 금속에 따라서 주철주물 ·알루미늄합금주물 ·구리합금주물 등으로 분류하거나 주형의 종류와 용해된 금속의 유입법에 따라 분류한다.

    주형의 재료는 주물사(鑄物砂)를 단단히 다져서 만드는 사형(砂型), 강(鋼) 등의 금속에 조각해서 만드는 금형(金型), 가열하면 단단해지는 합성수지의 입자에 모래를 혼합한 것을 미리 가열한 금속제의 모형(母型) 위에 떨어뜨려서 고화시켜 얇은 껍질 모양의 주형을 만드는 셸형(shell mold) 등 여러 가지가 있으며, 각각 사형주물 ·금형주물 ·셸몰드 등으로 나누어진다.

    녹은 금속의 유입방법으로는 중력을 이용하는 중력주조, 녹은 금속을 가압하여 주형에 밀어 넣는 다이캐스팅(die casting), 원심력을 이용하여 주형의 구석구석까지 쇳물을 보내는 원심주조, 소량의 화약을 놓고 그 폭발의 압력으로 쇳물을 밀어 넣는 폭발주조, 주형을 아래로 향하게 하여 그 일부를 쇳물의 표면에 조금 넣어 두고 쇳물의 면을 가스로 가압하여 주형 속에 쇳물을 넣는 동시에 주형의 밑에서는 배기하여 쇳물을 빨아올리는 사출주조법(射出鑄造法) 등이 있다.


    공정



    주물작업을 하려면 우선 주형을 만들어야 한다. 금형의 경우는 금속의 쇳물을 흘려보내도 지장이 없고 내열성(耐熱性)이 있는 금속덩어리를 파서 오목한 부분을 만든다.

    금형은 하나의 주형을 수백 번이고 사용하기 때문에, 만들어진 주물을 응고 후에 손쉽게 빼낼 수 있도록 몇 개로 분할하게 되어 있다.

    사형에서는 매번 주형을 부수어 주물을 꺼내야 하므로 주형을 제품의 개수만큼 만들지 않으면 안 된다. 보통 나무로 만든 제품의 모형을 몇 개로 나누어 만든 모형(母型)을 틀 속에 넣어 주위에 모래로 다져서 단단하게 한 후 모형을 빼내는 방법으로 주형을 만든다.

    그러나 원통이나 원판을 조합한 것은 회전주형(sweeping mold)이라 하여 판으로 만든 외형의 모양을 회전시키면서 모래산을 만들어 주형을 만든다. 다음에는 여러 형식의 융해로에서 금속을 용해하는데, 합금의 경우에는 사전에 배합하여 정해진 성분으로 만든 쇳물을 일단 쇳물바가지(ladle) 속에 넣고, 여기서 주형에 주입한다. 굳어지는 것을 기다려 물건을 꺼내고, 사형이면 모래를 털어 낸 다음 그대로 또는 주물표면을 잔손질하여 제품으로 마무리한다.

    석탄난로는 주물표면 그대로의 예이고, 무쇠 솥은 깎아서 마무리한 예이다.


    닫기




     
      서울사업부 : 서울시 종로구 와룡동 121-1 1층(창덕궁 앞)
                     서울특별시 종로구 돈화문로 96 (우 110-360)

                     시대크리스탈산업 대표 최경순,
                     Tel : 02-745-9971~3, Fax : 02-743-9994
                     사업자등록번호( 101-06-81157),통신판매업신고 : 01-4367호
    광주사업부 : 광주광역시 동구 충장로 5가 8-5번지 1층
                     삼성생명 뒷편 충장로 5가 시대크리스탈산업
                     Tel : 062-228-2911, Fax : 062-226-2089

    서비스가입사실확인